안동권씨 서설당의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다. 사랑채 건물의 북동쪽 모서리 방향으로 좀 높게 자리 잡고 있다. 사각으로 다듬은 3단의 석축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웠다. 기단의 높이는 약 50cm 정도 된다. 사당 건물의 기둥은 앞 선으로 나와 있는 것은 물론이고, 건물의 벽면 속에 들어간 것들도 다 원형이다. 앞으로 나온 두리기둥들과 2선을 이루고 있는 기둥들 사이는 뜰이 마련되어 있다. 측면에서 건물은 중앙에 1칸을 두고 앞 뒤로 반 칸씩을 나누어 배치한 형상이다. 뒤쪽 반 칸은 확장시켜서 측면 2칸 규모를 갖추기 위해 덧붙인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사당으로서는 상당히 큰 규모이다.
안동권씨 서설당의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다. 각재기둥을 썼고, 두리기둥은 보이지 않는다. 기단은 석축을 가슴 높이까지 쌓아올려 마련하였다. 전체 5칸 중 오른쪽 3칸은 방이고, 왼쪽 2칸은 마루이다. 3칸의 방 앞에는 반 칸 정도 넓이의 앞마루가 가설되어 있다.
앞마루는 앞 선을 이루고 있는 기둥들 앞으로 두 뼘쯤은 더 나와 있다. 앞마루의 천장은 서까래가 보이지 않게 바둑판같은 모양의 반자로 처리되어 있다. 방의 벽면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위 1, 아래 3의 비례로 벽면을 횡단하고, 아래쪽 중앙에 2쪽의 방문을 달아맨 형상이다. 안동권씨 서설당이 단정함과 균형미를 앞세운 건물 미학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하는 부분이다.
3칸 방 중 가운데 방 처마 밑에는 ‘북창헌’이라는 글씨가 써진 종이가 붙어 있고, 그 왼쪽으로는 ‘열화당’ 현판이 보인다. 앞 선의 기둥 위쪽은 처마 아래 이중의 횡목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틈목을 질러 넣어 약간의 틈새를 마련하고 있다. 위쪽 2개의 횡목은 아래쪽 마루 끝선을 이루고 있는 횡목, 그 위쪽 일선을 이루고 있는 난간의 횡목과 서로 연관되어 이 사랑채 건물을 가로 쪽으로 길게 보이게 하고,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것 같은 둔중한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러한 느낌은 3칸 방의 벽면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중앙 횡보에 의하여 더욱 강화된다. 물론 건물의 앞 선을 이루는 각재 기둥의 수선, 3칸 벽을 형성하는 각재기둥의 수선들에 의하여 횡선의 독주는 일정하게 견제를 받기는 한다.
마루는 기단으로부터 2뼘 정도는 떠 있다. 앞마루도 그러하고, 왼편의 마루도 그러하다. 왼편의 마루는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이다. 이 방은 북쪽 벽면은 위는 백토, 아래는 나무판 문과 나무판 벽으로 처리되어 있다. 여기서도 벽면은 위 1, 아래 3의 비례로 분할된다. 이런 벽면의 분할은 마루의 동쪽 벽면에서도 살펴진다. 이 벽면은 윗부분을 격자무늬 방문을 옆으로 누워 놓은 것처럼 광창을 달고 있다는 것 외에는 북쪽 벽면과 같은 모양이다. 앞마루 부분은 오른쪽 끝에서는 키 나무판 문을 달아서 여닫게 하였다. 이 부분의 위쪽은 그냥 터져 있다.
왼쪽 끝 부분은 아래쪽 1칸이 마루의 끝 선까지 나와 있고, 그 벽면 중앙의 나무판 문으로 차단되고 있다. 왼쪽 나무판 벽의 아랫부분에는 1쪽 나무판을 세로로 세우고 그 위에 횡목을 가로질렀는데, 아래 나무판은 각목의 동일한 틀 속에 판자가 끼워져 있는 형상이다. 1칸 당 5개씩 동일한 형상이 반복된다.
왼쪽 끝부분에서는 마루의 벽을 넘어서서 쪽마루가 가설되어 있다. 이 쪽마루는 건물 뒤쪽에서도 왼쪽으로부터 제 2칸 영역까지 돌아가고, 안채와 구분지어 놓은 담을 만나면서 사라진다.
건물의 앞부분에는 마루 끝에 난간이 가설되어 있다. 수직으로 세워진 2뼘 정도 높이의 난간이다. 난간의 아래편은 1쪽의 판재를 세로로 세우고, 그 위에 각목을 가로지르고, 조금 틈을 둔 후 다시 각목을 가로질러 위쪽을 마무리한 모습이다.
중문채는 사랑채의 오른쪽에 있으며, 반 칸 넓이만큼 사랑채보다 뒤쪽으로 물러서 있다. 정면 6칸 규모이다. 지붕 높이도 중문채가 약간 낮다. 중문채 지붕의 처마 끝은 사랑채 건물 지붕 속으로 파고든다. 중문채 지붕의 왼쪽 끝 부분 처마는 사랑채 지붕의 오른쪽 끝 부분 처마 밑으로 슬며시 끼어든다. 그러나 그 윗부분에서는 중문채 지붕의 기와가 사랑채 오른쪽 측면 기와 위로 올라서며 깔리고, 중문채 지붕의 용마루 끝부분은 사랑채 지붕의 용마루 끝 고매기의 삼각형 부분 속으로 파고든다. 그렇게 두 건물은 위쪽에서 하나로 뒤섞여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뒤섞임은 중문채 건물의 오른쪽 제 2칸과 제 3칸을 이루는 지붕 위에서도 나타난다. 이 부분의 지붕은 아래쪽에서는 동서 축으로 펼쳐진 중문채 건물의 지붕선을 그대로 보여준다. 그러나 그 위로는 남북 축으로 뻗은 오른쪽 연결채의 지붕 끝이 슬며시 걸터앉아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용마루 위로 오른쪽 연결채의 삼각형 지붕과 고매기가 모습을 드러낸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중앙의 3칸은 마루이다. 왼편의 정면 1칸, 측면 2칸은 동쪽 연결채와 연결되어 있는 방이다. 서쪽의 경우 마루 바로 옆의 1칸은 앞에 1칸의 마루를 두고 정면 1칸, 측면 1칸의 방이 뒤로 물러나 앉아 있고, 그 안쪽으로는 다시 정면 1칸, 측면 2칸 규모의 방이 서쪽 연결채와 붙어 있다.
건물들은 사랑채, 중문채, 좌·우 연결채, 안채가 각각 다른 건물로 지어져서 서로 뒤섞이고, 틈을 메워 연결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하나가 되어 있다.
안뜰은 2단으로 구획되어 있다. 좁은 뜰에 석축을 쌓아 그 위에 뜰을 마련하고, 다시 석축을 쌓아 마루 앞뜰에 이르는 방식이다. 그만큼 안채가 올라서 있는 기단이 높아지는 구조라고 하겠다. 안채의 크기도 통상의 경우보다 높고 크다. 좌·우 연결채의 지붕을 자신의 지붕 안으로 끌어들여 하나로 합해져 버리는 처리방식도 그런 높이의 차이에서 온다.
안채의 서쪽으로는 ㄱ자 모양을 옆으로 회전시켜 놓은 모양의 살림집이 있다.
관련인물 |
|
- 배출 인물 |
권정모(權正模),권사문(權思問),권심도(權心度)
|
|
|
- 제사 인물 |
권벌(權?),권동미(權東美)
|
|
|
- 석정 권동미의 후예들 |
권동미(權東美, 1525~1585)는 자가 자휴(子休), 호가 석정(石亭)으로, 송암정(松岩亭)의 주인이다. 송암은 닭실 종가에서 동쪽 편으로 산기슭을 타고 나가 한 굽이를 돌아들면 만날 수 있는 토일마을의 산록에 자리 잡고 있다. 권동미는 여기에 정자를 지었고, 아마도 분가해서 살 집도 지었을 것이다. 이 집은 나중에 동쪽으로 옮겨져 안동권씨 서설당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이 정자는 송암정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권동미는 진사와 현감을 지냈다. 안동권씨 21대로 충재 권벌의 2남이다. 묘는 백호등에 있으며, 배위는 공인 봉화금씨, 후 배위는 공인 진주류씨이다.
권동미의 아들은 권채(權采, 1557~1599)이다. 권채의 자는 공량(公亮), 호는 송암정이다. 권동미의 정자가 송암정으로 불리게 된 것은 권채 때문이라고 하겠다. 배위는 영인 경주이씨, 후 배위는 영인 영천이씨이다.
권동미의 딸은 퇴계 이황의 손부이다. 사위의 이름은 이영도이다. 권동미의 2남 권래(權來)는 백부 권동보에게 양자를 가서 충재공 종가의 가계를 이었다.
권채의 아들은 권상현(權尙賢, 1590~1630)이다. 권상현은 자가 제보(齊甫), 호가 북창(北窓)이다. 장사랑이며, 배위는 풍산류씨이다.
권상현의 아들은 권식(權軾, 1610~?)인데, 자가 경첨(景瞻), 호가 쌍백이다. 배위는 풍산김씨인데 타계한 해 등은 족보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권섭(權涉, 1621~1695)이 양자로 들어와 권상현의 후사를 이었다. 권섭은 자가 재읍(再揖)이고, 배위는 봉화금씨이다.
권섭의 아들은 권두익(權斗翼, 1651~1725)이다. 권두익은 송암정 앞에서 오늘의 위치로 집을 옮기는 사람이다. 자는 익경(翼卿), 호는 안동권씨 서설당이다. 배위는 진성이씨이고, 후 배위는 봉화금씨이다.
권두익의 아들은 권완(權莞, 1678~1724)이다. 자는 형원(馨遠)이고, 배위는 문소금씨이다.
권완의 아들은 권정모(權正模, 1704~1784)이다. 자는 맹범(孟範)으로 사복시정을 증직으로 받았고, 배위는 성산여씨, 후 배위는 풍천임씨이다.
권정모의 아들은 권사문(權思問, 1731~1769)이다. 자가 사유(士裕)이고, 증 이조 참의이며, 배위는 숙부인 풍산류씨이다.
권사문의 아들은 권심도(權心度, 1763~1801)이다. 자가 지언(知彦)이고, 이조 참판이 중직으로 주어졌다. 배위는 정부인 한산이씨이다.
권심도의 아들은 권재원(權載轅, 1782~1866)이다. 자가 주노(周老), 호가 무구옹(無求翁)으로, 동추(同樞) 벼슬을 하였으며, 증직 이조 참판이다. 배위는 정부인 함창김씨이다.
권재원의 아들은 권응하(權應夏, 1807~1837)이다. 자는 현서(玄瑞), 배위는 인천채씨이다.
권응하의 아들은 권회연(權會淵, 1826~1893)이다. 자는 청지(淸之), 배위는 한양조씨, 후 배위는 청주정씨이다.
권회연의 아들은 권상덕(權相德, 1846~1909)이다. 자가 경맹(景孟), 호가 동석(東石)이고, 진사이고, 참봉이다. 배위는 단인(端人) 고성이씨이고, 후 배위는 단인 광산김씨이다.
권상덕의 아들은 권문섭(權文燮, 1878~1966)인데, 자는 공유(公柔), 호는 옥암(玉庵), 주사였다. 배위는 단인 진산진씨이다. 권문섭의 아들은 권돈(權墩, 1897~1967)인데, 자가 목경(穆卿)이고, 배위는 진산강씨이고, 후 배위는 창령성씨이다.
권돈의 아들은 권석주(權錫?)이다. 권석주는 자가 사원(士元)이고, 1919년에 출생하였다. 권석주의 아들은 1939년에 탄생한 권우봉이다. 권우봉은 안동권씨 37대이며, 현재 안동권씨 서설당 종가의 주인이다.
|
|